포털사이트나 SNS 등의 온라인 플랫폼사가 소비자의 구매 이력과 관심사 등 개인정보를 수집·분석해 광고사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해 경기도민의 72%가 부정적인 인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달 27일부터 30일까지 도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통해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5일 밝혔다.

온라인 맞춤형 광고는 소비자의 검색, 구매 기록 등 개인정보를 토대로 소비자의 관심·흥미 등을 파악해 맞춤식으로 제공하는 광고를 의미한다.

온라인 플랫폼사는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수집·분석해 광고주와 온라인 맞춤형 광고 제공 계약을 체결한다. 이를 통해 플랫폼사는 광고시장에서 수익을 창출하며, 일부 플랫폼사는 정보 독점을 통해 온라인 광고시장에서 독점사업자가 되기도 한다.

이번 조사에서 94%의 응답자는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면서 온라인 맞춤형 광고를 접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주로 ▶온라인 쇼핑(58%) ▶뉴스 검색(51%) ▶동영상 시청(58%) ▶단순 정보 검색(48%) 등을 할 때 온라인 맞춤형 광고를 경험했다.

온라인 맞춤형 광고를 접한 도민 943명 중 해당 웹사이트에서 검색한 단어 관련 상품이 해당 웹사이트 이용 중 광고로 표시되는 상황을 접했다는 응답은 86%였으며, 특정 웹사이트에서 검색한 단어 관련 상품이 다른 웹사이트 광고로 표시되는 상황을 접했다는 응답도 80%에 달했다.

온라인 플랫폼사가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광고사업자에게 제공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723명이 부정적 의견을 보였다. 이들은 ▶개인정보 유출 우려(52%) ▶개인정보 동의 없이 무단 사용(18%) ▶사생활 침해·감시당하는 느낌(10%) ▶과다 광고 노출(9%) ▶스팸 전화(4%) 등을 이유로 꼽았다.

온라인 플랫폼 회원가입 시 입력하는 신상정보에 대해 ‘금전적 가치가 있다’는 응답은 86%에 달했으며, 구매 및 검색기록 등 행태정보에 대해 ‘금전적 가치가 있다’는 응답도 85%였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