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민 경기도 철도건설과 주무관
이종민 경기도 철도건설과 주무관

1960년대 이후 국내에서 역사 속으로 자취를 감췄던 노면전차가 다시 부활하고 있다. 최근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급부상하며 ‘트램(TRAM)’이라는 이름으로 동탄, 위례, 대전 등 지자체를 중심으로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트램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해 노면을 달리는 경량전철의 한 종류다. 우리나라에서는 1968년 운행이 중단됐으나 프랑스·스페인·체코 등 유럽 선진 대도시를 중심으로 도심에서 자동차 진입을 억제하는 가장 효과적인 교통수요관리기법으로 여전히 각광을 받으며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실제로 트램은 정시성(定時性) 확보, 환경오염 저감 등 기존 도심 교통수단의 단점을 극복하는 대체 교통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차량의 바닥 높이를 낮춰 일반 승객뿐만 아니라 휠체어, 유모차 등 이용자의 승하차가 쉬워 교통약자들에게 쾌적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시각적인 측면에서도 도시미관과의 조화를 최우선으로 해 도시의 이미지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며 승객 조망권 확보도 가능하다. 

그 뿐만 아니라 기존 자동차 중심의 도시공간을 사람, 보행, 모빌리티가 모두 상생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등 보행친화도시를 완성할 수 있는 기초적인 역할도 수행한다. 이동 수단의 다양성 확보라는 새로운 가치 창출도 기대된다.

경기도내에서도 동탄 트램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제는 트램에 대한 기대감을 넘어 장점과 보완점을 꼼꼼히 살펴 성공적인 사업 추진이 이뤄지는 데 주력해야 한다.

실제로 트램 사업은 우선신호체계 및 전용차로 도입으로 도시 교통신호체계에 큰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자칫 혼란이나 승용차 이용자들의 불만에 맞닥뜨리게 될 수 있고, 더욱이 기존 도시 대중교통체계를 새롭게 변화시켜야 하는 부담감도 갖고 있다.

사업의 성공 여부는 "지역주민들이 얼마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느냐", "기존 도로교통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기존 다양한 ‘광역교통’ 수단과의 체계적인 연계를 도모하고, 복잡한 신호체계를 통제할 수 있는 관제 기술의 연구, 현실에 부합하는 관계 법령에 대한 조속한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다행히 최근 차량 개발, 사고저감기술, 4세대 정보통신기술 접목, 인공지능 기반 원격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기술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만큼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차원에서 조금만 더 관심을 기울인다면 사업의 성공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이제는 장밋빛 청사진을 넘어 이를 실현시켜 도민들의 교통편의와 삶의 질을 증진할 수 있는 대안 마련에 고민할 때다. 현재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에서 다양한 분야의 기술과 연구를 접목시켜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트램 건설을 위해 노력한다면 앞으로 트램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이다. 경기도 역시 성공적인 트램 시대를 열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