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금비 경기도 철도건설과 주무관
김금비 경기도 철도건설과 주무관

국민의 발 ‘철도’는 세상에서 가장 안전하고 신속·편리한 교통수단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떠한 교통수단들보다 많은 인원과 물류를 경제적으로 빠르고 안전하고 정확하게 운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철도는 수도권 교통난의 주효한 대안이자 지역 발전과 경제성장을 이끄는 사회간접자본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최근에는 트램, KTX-이음 등이 등장하며 탄소중립시대에 가장 적합한 친환경 교통수단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명실상부 ‘철도 르네상스 시대’가 열린 셈이다. 정부와 지자체도 이 같은 장점과 지역민들의 수요에 적극 부응해 관련 투자를 확대하며 전략적인 철도망 계획 수립과 철도 확충에 적극 힘쓰고 있다. 

철도의 미래는 밝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구축을 향후 과제로 천명한 만큼 철도교통은 지역과 지역의 교류를 넘어 국가와 국가를 잇는 더 크고 웅대한 비전을 위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그렇다면 철도가 앞으로도 ‘국민의 발’로서 신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  

철도는 그 어떠한 교통수단보다 편의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수단임에도 2003년 발생한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에서도 볼 수 있듯 자칫 한 번 사고가 발생하면 큰 희생을 낳을 수 있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큰 것도 사실이다. 다행히 국가 차원에서 철도 안전법을 제정하고 여러 안전대책을 수립하며 안전사고가 감소되는 추세이긴 하나, 기계 결함이나 인적 오류에 따른 열차 사고 등 여전히 끊임없이 크고 작은 사고들이 발생해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사고는 역설적으로 철도교통이 신호·기계·통신·토목·차량 등 다양한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복합 시스템이라는 데 원인이 있다. 설계~시공~운영으로 이어지는 복잡한 공정에서 인적 오류·기술 결함·인터페이스 오류 등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잠재적 위험요소들이 도사리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철도 건설 단계부터 사고 원인을 제거하거나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저감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위험도 평가, 최신 기술을 활용한 안전설비 구축 등을 통한 다각적인 안전관리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 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철도 안전과 관련한 제도 개선 노력도 지속돼야 한다. 철도안전법 제정과 철도안전관리체계 승인 제도 운용, 중대재해처벌법 제정을 통해 철도 안전관리가 강화되고 있지만 형식적인 안전관리 제도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것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철도 안전관리가 현장에서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종사자의 안전의식 강화 필수다. 지속적인 안전교육으로 철도안전문화를 정착·확산해야 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정부, 지자체, 철도 종사자 모두의 노력이 절실하다.

경기도 역시 철도 안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 ‘안전제일’을 슬로건으로 별내선, 도봉산~옥정선 등 경기도에서 수행하는 철도건설사업 현장의 안전교육과 관리 실태 점검을 점차 강화해 나가고 있다. 경기도는 앞으로도 철도교통이 신뢰와 안전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관계 기관들과의 상호 유기적 소통으로 안전 확보에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