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올해 경기도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미래교육’이라고 강조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전면 등교 논란부터 온라인 수업에 따른 학습결손, 방역패스 논란 등 숱한 고비가 있었지만 그는 올해부터 시작되는 고교학점제를 비롯한 혁신학교, 미래학교 구상에 매진하며 교육의 다양성을 꿈꾼다. 

미래교육을 책임질 차기 교육감선거를 앞둔 올해, 지난 성과와 미래 계획 진단을 듣기 위해 이 교육감을 만났다.

# 모두가 힘을 모은 교육혁신 ‘혁신학교’

이 교육감이 7년 넘게 현장을 진두지휘하며 느낀 가장 큰 소회는 ‘교육은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이란 점이다. 혁신교육을 하며 도내 10만 명이 넘는 교사들이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만들어 왔기에 지역에서는 혁신교육 포럼이 만들어져 학교 안 혁신교육을 지역사회가 어떻게 만들어 갈지 적극적으로 고민하면서 여기까지 왔다고 생각한다. 이 교육감이 남은 임기 동안 주어진 책임에 역할을 다하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런 그에게 두 번째 임기의 가장 큰 성과는 역시 ‘혁신학교’다. 2009년 13개 교로 시작했던 혁신학교는 운영 14년 만인 올해 전체 학교의 57%에 해당하는 1천393개 교(초 298개 교, 중 119개 교, 고 45개 교)가 참여한다. 전국에서도 혁신학교가 절반을 넘은 경우는 경기도가 유일하다. 혁신학교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들도 대부분 혁신교육을 실천하는 혁신공감학교로 운영돼 사실상 도내 모든 학교가 혁신교육을 하는 셈이다.

혁신학교의 성장은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과 꿈을 키워 낼 환경이 조성된다는 의미다. 경쟁보단 협동이 우선이다. 교사와 학부모, 마을과 지역이 함께 만들어 가는 교육의 변화를 상징한다. 특히 이 같은 경기교육을 바꾸는 힘은 학생과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에서 왔기에 모두가 힘을 모아야 혁신을 이뤄 낼 수 있다는 이 교육감의 교육철학과도 맞닿아 있다.

#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위한 ‘교사 역량 강화’ 

경기교육의 혁신은 올해부터 도입되는 전면 고교학점제로 시작을 알린다. 2025년 전국에서 전면 시행하는 고교학점제에 대비해 도내 모든 고등학교를 고교학점제 연구 및 선도학교(선도학교 383개 교, 연구학교 9개 교)로 지정, 시행에 나서기 때문이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에게 다양한 과목 선택 기회를 제공하고 일정 학점을 이수하면 졸업을 인정하는 제도로, 도교육청은 2018년부터 고교학점제 연구 및 선도학교를 시범적으로 운영하며 학생 진로·적성에 따른 학업 설계, 교육과정 다양화, 책임교육 체제 구축 등 전면 도입에 대한 준비를 차근차근 해 왔다고 알려졌다.

이 교육감은 도교육청이 고교학점제를 실현할 교육환경을 조성하고자 교과순회전담교사 확대 배치, 교육지원청 중심의 지역 중심 협력체제 강화, 다양한 교과목 수강이 가능한 미래학습 공간 조성 등에 나선다고 밝혔다.

다만, 고교학점제가 안정적으로 안착하려면 교원 역량 강화가 전제돼야 한다고 판단한다. 학생들에게 다양한 과목 선택 기회를 제공하려면 교사부터 다양한 교과목의 수업이 가능한 역량을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이 교육감은 이를 위해 교사의 복수전공 자격 취득을 적극 권장해 왔다. 도교육청 역시 희망 교원을 대상으로 복수전공 자격 연수 시범운영을 계획하는 단계다. 물론 복수전공 취득을 위한 재교육을 두고 촉발된 교원단체의 반발은 아직 넘어야 할 산이다.

# 교육재정 늘려 과대·과밀학급 문제 해소를 이 교육감은 경기교육 발전을 위해 필연적으로 해소해야 할 문제도 짚었다. 과대·과밀학급이다. 경기도는 전국적인 학령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신도시 중심 개발사업에 따른 인구 유입이 확대되며 학교 신설 및 과밀 요인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이다. 학생 수도 2020년 112만 명에서 올해 121만 명, 2023년은 124만 명으로 늘어나리라 예측된다. 한 학년이라도 학급당 학생 수 28명이 넘는 과밀학급인 학교는 공립 초·중·고 2천239개 교 중 과반수인 1천320개 교가 해당된다.

이 교육감은 과밀학급을 감축하고자 특별교실 전환, 모듈러 임시교실 설치, 교실 증축 등을 추진 중이다. 교원 확보 및 정원 외 기간제 교사 감축을 위한 적정 규모의 교원 증원도 요청할 계획이다. 대규모 개발사업이 집중된 지역은 학교 개교와 공동주택 입주 시기 차이로 개교 시 과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향후 중앙투자심사 때 지역별 상황을 고려한 심사를 적극 요청할 예정이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국가 교육재정을 과감히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교부율을 20.94%로 상향해 교육재정 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획기적인 교육재정 투자가 선행돼야 학생들이 마음껏 꿈꾸고 도전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미래교육 기반을 다지는 일이 가능하다는 생각이다.

# 미래교육 책임질 ‘차기 교육감선거’ 

올해는 미래교육 도약의 원년이 되는 만큼 이 교육감은 차기 교육감 선거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는 올해 6월 치를 경기도교육감 선거는 선거 규모가 커 유권자들에게 정책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이 어렵고, 미디어에서도 도지사 및 시장·군수 등 지자체장 선거에 집중해 교육감 선거가 유권자에게 전달되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경기도의 차기 교육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떻게 교육을 발전시켜 나갈지, 이런 엄중한 상황에서 미래교육 학교를 만들어야 한다는 과제를 어떻게 풀어갈지, 고교학점제 준비를 위해 교원 복수전공 같은 교사 역량 개발을 어떻게 해 나갈지 등 업무량이 과중한 동시에 책임이 막중하기 때문에 더 큰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학부모들이나 지역에서 교육운동에 앞장서는 관련자들, 유권자 모두가 경기교육 미래를 위해 심사숙고하고 적극적으로 선거에 참여하길 당부한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이 교육감이 남은 임기 동안 해결해야 할 과제는 산더미처럼 쌓였다. 청소년 코로나19 백신 접종, 교육 관련 노조들과의 갈등 봉합 등이 대표적 과제다. 이런 와중에도 이 교육감이 끝까지 강조하는 것은 바로 ‘미래교육’이다. 이 교육감에게 미래교육이란 학생들의 꿈을 이뤄 주는 일이다. 차기 교육감도 마찬가지라고 그는 본다. 그렇기에 올해 경기도 교육은 미래교육을 위한 새로운 길을 찾아나서야 한다. 

박지혜 기자 pj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