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사를 작성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가 무엇일까, 바로 ‘협치’다.

민선8기 경기도정, 제11대 경기도의회의 임기 첫걸음부터 도와 도의회, 도의회 양당 관계가 교착 상태를 면치 못하는데도 모두들 ‘협치’를 말한다.

협치의 의미는 ‘힘을 합쳐 잘 다스려 나가는 일’, ‘무언가를 결정하기에 앞서 협의와 공감대 조성을 선행하는 일’, ‘정치에 있어 여야가 양보하고 협력해 주요 현안을 처리하는 일’이다.

그런데 지금 도와 도의회가 처한 상황은 이런 의미의 ‘협치’와는 정반대 양상이다. 11대 의회는 의정활동의 첫 스텝이자 필수 관문인 원 구성조차 하지 못했고, 고물가·고금리 기조 속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짜여졌다는 도의 올 첫 추경도 도의회 원 구성 지연에 따라 기약 없이 막혔다.

"협치해야 한다", "협치하지 않으면 안 된다", "협치는 도민의 명령이다" 등등. 김동연 경기지사, 도의회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의 ‘워딩’은 너나 없이 같지만 이 상황을 보자면 어딘지 공허하다.

서로가 서로에게 바라는 협치는 무엇일까. 그들이 정의하는 협치는 무엇이고, 또 협치를 통해 지향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지난 19일 김 지사가 민생현장 확인 차 방문한 경기신용보증재단(수원지점)에서 만난 소상공인들은 절박했다.

경기신보 보증 상담창구를 찾은 한 상인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지난 3년의 세월을 끌어올리기가 어렵다"며 "금리는 계속 오르는데 원금 상환 기간이 도래하면 정말 어려워질 듯싶다"고 토로했다.

도민을 대변하며 도민을 위해 일해야 하는 도·도의회가 바라봐야 할 지점이 바로 이러한 ‘민생’이다. 추구하는 협치의 방향은 다를지 모르지만 결국 바라봐야 할 최종 목표 지점만은 같아야 한다. 

취재 현장에서 바라본 협치는 민생을 지향점 삼은 협력보다는 각기 이익을 취하려는 하나의 ‘수단’으로 퇴색되는 느낌이다.

하루빨리 도·도의회가 진정한 협치의 의미를 거듭 되짚어 경제위기에 허덕이는 도민들의 손을 나란히 잡아 주길 학수고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