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현린 주필
원현린 주필

30년 전 오늘은 한중 양국이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수교(修交)를 맺은 날이다. 수교 이래 두 나라는 경제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 냈다. 나타난 수치상으로도 양국은 서로가 최대 교역국이다. 이제 두 나라 발전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 반중(反中)·반한(反韓) 정서 등 소모적인 감정 대립은 멈춰야 할 때다. 

30년 세월이 흘렀건만 양국은 발전보다는 여전히 상호 추구하는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인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반목과 대립의 연속이다. 유감이 아닐 수 없다. 우리가 외교노선을 놓고 안미경중(安美經中: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에서 안미경세(安美經世:안보는 미국, 경제는 세계)로 전환하는 자세를 취하자 한중관계는 또다시 변곡점을 맞았다. 양국은 현안을 지혜롭게 풀어나가야 한다.

중국은 여전히 자국 국경 안에서 전개된 모든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만들기 위한 사업, 동북공정(東北工程)을 멈추지 않는다. 게다가 이제는 덩샤오핑(鄧小平)이 개혁·개방정책을 취하면서 대외정책의 근간(根幹)으로 삼았던 도광양회(韜光養晦: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감춰 때를 기다리며 실력을 기른다)에 머무르지 않고 화평굴기(和平屈起:평화를 유지하며 우뚝 선다)를 외교 노선으로 채택했다. 세계 모든 분야에서 최고가 되려는 중국이다. ‘굴기’ 앞에 반도체, 자동차, 군사, 우주 등을 붙여 각 분야 최강이 되겠다는 뜻이다. 중국의 남순강화(南巡講話)가 주변국들을 협박하는 남순위하(南巡威하)가 돼서는 안 된다. 중국은 강대국가다. 강국일수록 세계 평화와 발전에 이바지할 의무가 있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중국의 동북공정뿐만 아니라 러시아 푸틴도 여전히 동방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근자 들어 중국의 타이완 해협에서의 군사훈련이 강화되자 미국과 중국의 갈등도 격화됐다. 우려하던 미·중 간 신냉전(新冷戰)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군사전문가들은 이러한 와중에 한반도 주변에서의 군사 충돌 가능성도 더욱 커진다는 전망까지 내놨다. 여기에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세계가 냉전 정점 이후 볼 수 없는 핵 위험에 직면했다"며 핵 전쟁 발발 가능성을 경고하기도 했다.

국제사회에서 이웃나라끼리 선린(善隣)우호(友好)관계를 맺는다는 게 그토록 어려운 일인가. 말 그대로 냉엄한 국제사회다. 최근 박진 외교부 장관과 왕이(王毅)중국 외교부장이 외교장관 회담을 하고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문제를 비롯한 현안을 논의했다. 양국은 사드 문제가 한중관계에 걸림돌이 돼선 안 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한다. 희망적인 소식이다. 국익은 충돌하기 마련이지만 상호 간 조정이 요청된다. 

또한 수교 30주년을 맞아 베이징(北京)에서 한민족 한마음 걷기대회가 열린 것을 비롯, 국제문화학술발표대회 등 각계각처에서 기념행사도 잇따르른다. 

그렇다, 함께 가야 한다. 시진핑(習近平)국가주석을 비롯한 중국 측 인사들의 표현대로 두 나라는 "이사 갈 수 없는 가까운 이웃"이다. 30년 전 역사적인 한중 수교를 이뤄 낸 당시 노태우 대통령은 중국을 공식 방문한 자리에서 초청 연설을 통해 "산둥(山東)지역에서는 이른 아침이면 한국의 인천에서 닭 우는 소리가 들린다는 우스갯소리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의 서해안에서는 맑은 날이면 청두항(靑島港)의 공장 굴뚝이 보일 것입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처럼 한국과 중국, 두 나라는 닭 우는 소리가 들리고 공장 굴뚝이 바라다보이는 이웃이다. 

수교 30주년을 맞은 오늘을 기점으로 다시금 한중관계를 되돌아보고 향후 양국이 미래로 나아갈 길을 새로이 모색해 보는 것이야말로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1992년 중국과 수교 당시 청와대 출입기자로서 베이징에 특파됐던 필자였기에 한중수교일을 맞는 소회가 남다르다. 때문에 잠시 한번 30년 전 베이징엘 다녀와 봤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